게임녹화 시 녹화 된 동영상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엔비디아 코덱의 경우)
엔비디아 NVENC H.264 코덱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계시다면 녹화 된 파일의 크기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오캠의 코덱 메뉴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NVENC H.264 코덱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오캠의 코덱 메뉴에서 하드웨어 인코더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하드웨어 인코더 설정창이 나타나며, 노란색 박스로 표시한 부분을 수정하여 녹화 된 동영상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우선 가변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녹화 된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 아래 그림처럼 레이트 컨트롤이 1-PASS VBR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

퀀타이저라는 값은 1~51부터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퀀타이저 값이 낮을수록 화질이 좋아지고, 퀀타이저 값이 높을수록 화질이 떨어집니다.
즉, 녹화 품질은 최소 퀀타이저~최대 퀀타이저 값의 범위만큼 정의됩니다.
예를 들면,
최소 퀀타이저 값이 1, 최대 퀀타이저 값이 13이라면, 녹화 품질은 1~13입니다.
최소 퀀타이저 값이 1, 최대 퀀타이저 값이 51이라면, 녹화 품질은 1~51입니다.
최소 퀀타이저 값이 13, 최대 퀀타이저 값이 51이라면, 녹화 품질은 13~51입니다.
결론적으로 동영상 녹화 파일의 크기를 줄이려면, 최소 퀀타이저와 최대 퀀타이저의 값을 크게하면 할수록 녹화 품질이 떨어지면서 녹화 파일의 크기가 줄어드게 됩니다.
다음과 같이 상황에 따라서 퀀타이저 값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최대 녹화 품질을 유지하면서 중간중간에 화질을 낮추고 녹화 된 영상의 크기를 줄이려면, 최소 퀀타이저 값을 1로 하고, 최대 퀀타이저 값을 화질을 낮추고 싶은 만큼 큰 숫자로 줍니다.
( 예: 최소 퀀타이저: 1, 최대 퀀타이저 30 )
중간 품질을 유지하면서 중간중간에 화질을 최대로 낮춰서 녹화 된 영상의 크기를 줄이려면, 최소 퀀타이저는 26로 하고, 최대 퀀타이저 값을 51로 합니다.
참고로, 최소 퀀타이저 값은 최대 퀀타이저 값 보다 클수 없습니다.
즉, 최소 퀀타이저 값 <= 최대 퀀타이저 값 입니다.
주의: 최소 퀀타이저 값을 극단적으로 1, 최대 퀀타이저 값을 1로 해버리면 녹화 된 영상의 파일의 크기가 엄청나게 커지므로 이렇게 하지 않습니다.
오캠의 기본값인 최소 퀀타이저 값은 1, 최대 퀀타이저 값은 13이며 다음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최소 퀀타이저 >= 1 그리고 최대 퀀타이저 값 >= 13
다음은 고정 비트레이트를 이용하여 녹화 된 동영상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그림처럼 레이트 컨트롤을 1-PASS CBR로 변경한 후 평균 비트레이트를 설정하면 됩니다.
평균 비트레이트 크기가 클수록 화질이 높고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화질이 떨어지며 녹화 된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정 된 퀀타이저 파라메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레이트 컨트롤이 1-PASS 고정된 퀀타이저 파라미터로 설정합니다.
VBR에서 최소 퀀타이저와 최대 퀀타이저 개념이 없고, 퀀타이저가 고정 된 값으로 품질을 설정하게 됩니다.
오늘의 뉴스/팁
오캠 포터블(potable) 버전은 뭔가요? 설치해도 되나요?
따라서 이러한 포터블 버전을 사용하는 것은 절대 권장하지 않습니다.
이 파일에 대해 알아본 결과, 러시아의 크래커가 제작한 불법 수정 버전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랜섬웨어나 악성코드, 바이러스와 같은 위험 요소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파일을 설치하면 개인 정보 유출이나 시스템 손상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절대 설치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신뢰할 수 있는 유명 포털 사이트를 통해 배포되는 공식 버전만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공식 경로 외의 출처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은 보안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니 항상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식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의심스러운 파일은 즉시 삭제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