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24)

어도비 프리미어로 동영상 편집 시 랙이 심하게 걸리는 문제 해결방안

오캠(oCam)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화면을 녹화할 때는 대체로 문제가 없지만, 게임 녹화 시 동영상 파일의 평균 비트레이트가 지나치게 높게 설정될 수 있습니다. 높은 비트레이트는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지만,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Adobe Premiere Pro)와 같은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파일을 편집할 때 심한 랙(lag)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비트레이트를 낮추는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아래는 비트레이트를 줄이고 편집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1. 내장 코덱 사용 시 비트레이트 조정  

오캠의 내장 코덱을 사용하는 경우, 화질 설정을 낮춰 비트레이트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주세요:  

1. 오캠 메인 창에서 상단 메뉴의 ‘도구’를 클릭한 뒤 ‘옵션’을 선택합니다.  

2. 설정 창에서 ‘녹화’ 탭으로 이동하고, ‘일반’ 섹션을 확인합니다.  

3. ‘일반’ 섹션에서 ‘품질’ 설정을 찾아 슬라이더를 조정하여 화질을 낮춥니다. 품질을 낮출수록 비트레이트가 감소하며, 결과적으로 파일 크기가 작아지고 편집 시 랙이 줄어듭니다.  

4. 설정을 저장하기 위해 ‘확인’ 버튼을 누르고, 녹화를 다시 시도합니다.



2. 엔비디아 코덱 사용 시 비트레이트 조정  

엔비디아(NVIDIA) 하드웨어 코덱을 사용하는 경우, 비트레이트를 직접 설정하여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주세요:  

1. 오캠 메인 창에서 ‘코덱’ 메뉴를 클릭하고 ‘하드웨어 인코더 설정’을 선택합니다.  

2. 하드웨어 인코더 설정 창에서 ‘레이트 컨트롤(Rate Control)’을 ‘1-PASS CBR’(Constant Bit Rate, 고정 비트레이트)로 설정합니다.  

3. ‘평균 비트레이트’ 값을 낮은 값으로 조정합니다(예: 10Mbps 또는 그 이하로 설정). 낮은 비트레이트는 파일 크기를 줄이고 편집 성능을 개선합니다.  

4. 설정을 저장하고 오캠을 재시작한 뒤 녹화를 진행합니다.


3. 외부 인코더를 활용한 재인코딩  

화질 저하 없이 고화질로 녹화한 후 비트레이트를 줄이고 싶다면, 오캠으로 고화질 영상을 녹화한 뒤 외부 인코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재인코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팟 플레이어(PotPlayer)나 HandBrake 같은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오캠으로 원하는 고화질 설정으로 녹화를 진행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합니다.  

2. 다음팟 플레이어나 다른 인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오캠으로 녹화한 동영상 파일을 불러옵니다.  

3. 인코더 프로그램에서 비트레이트를 낮춘 설정(예: 5~10Mbps)으로 재인코딩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합니다.  

4. 재인코딩된 파일을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로 불러와 편집합니다. 이 방법은 원본 화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파일 크기와 편집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위 방법들을 통해 게임 녹화 시 높은 비트레이트로 인한 편집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내장 코덱 사용 시에는 품질 설정을 낮추고, 엔비디아 코덱 사용 시에는 CBR과 낮은 비트레이트를 설정하거나, 재인코딩을 통해 최적화된 파일을 생성하면 어도비 프리미어에서 더 원활한 편집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설정 변경 후에는 테스트 녹화를 진행하여 결과물을 확인해 보세요.


오늘의 뉴스/팁

외장 코덱 사용하기 - x264 사용

오캠은 외장 코덱(VFW)을 지원하며 여기서는 x264 코덱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x264 코덱은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x264vfw/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여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운로드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설치화면은 다음다음만 누르면 됩니다.


약관에 동의하세요.


설치 경로를 지정합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완료를 클릭합니다.


코덱 설치 후 반드시 오캠을 재실행해야 외장 코덱 목록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오캠을 재실행 후 오캠 메인 창에서 코덱 버튼을 클릭하고 외장 코덱 메뉴를 클릭합니다.


외장 코덱 사용하기 체크박스에 체크합니다.


목록에서 x264vfw - H264/MPEG-4 AVC codec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설정 버튼을 클릭해서 코덱에 세부설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코덱 설정창이 뜨며, 현재 우리는 일반적인 동영상 인코딩이 아닌 화면을 실시간으로 녹화해야 하기 때문에 Preset 에서 Ultrafast를 선택하고 Zero Latency 체크박스에 체크하여 가장 빠르게 인코딩이 되도록 설정하고 OK 버튼을 누릅니다.

( 이 설정방식은 실시간 녹화에 유용하며, 상황에 따라서 알맞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


이렇게 설정하신 후 녹화를 하시면 x264 코덱을 사용하여 녹화가 됩니다.




 

 
오캠관련 - howto 오캠 세부설정하기 - 저장
오캠관련 - howto 오캠 세부설정하기 - 캡처
오캠관련 - howto 오캠 세부설정하기 - 소리
오소프트툴즈 - secretfolder 파일이 암호화 된 것 같아요. 라는 질문
오캠관련 - howto 오캠으로 화면녹화 하기
오소프트툴즈 - coffeezip 커피집 전체 기능별 스크린샷
오소프트툴즈 - coffeezip 커피집(CoffeeZip)의 주요 기능 정리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전체 기능별 스크린샷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부가기능 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환경설정 상세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이미지효과 관련 기능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이미지편집 관련 기능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화면 캡처 관련 기능소개
오소프트툴즈 - virtualdvd VirtualDVD 기능 간단히 살펴보기
오소프트툴즈 - secretfolder 비밀폴더 암호 변경하기
오소프트툴즈 - secretfolder 비밀폴더(SecretFolder) 주요 기능 살펴보기
오캠관련 - howto 게임녹화 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