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화 된 동영상 파일은 어디에 있나요? 그리고 저장경로를 바꾸려먼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오캠(oCam)에서 녹화된 동영상 파일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관련 설정과 동작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오캠 메인 화면에서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녹화된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폴더가 자동으로 윈도우 탐색기(Windows Explorer)로 열립니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최근에 녹화한 파일을 빠르게 확인하고 파일 탐색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녹화된 동영상 파일의 저장 경로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 단계를 따라 주세요:
- 오캠 메인 화면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설정 창이 열리면 왼쪽 메뉴에서 ‘저장’ 탭을 선택합니다.
- ‘저장’ 탭에서 ‘저장 경로’ 항목을 찾아 원하는 폴더 경로(예: C:\Videos 또는 D:\Recordings)로 변경합니다.
- 설정을 저장하기 위해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이후 녹화된 동영상 파일이 지정한 경로에 저장되며, ‘열기’ 버튼을 통해 해당 경로를 손쉽게 열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장 경로를 자주 사용하는 폴더(예: 바탕화면)로 설정하면 파일 관리가 더욱 편리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팁
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이란 무엇인가요?
오캠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위 두 가지 용어에 대한 이해는 필요가 없지만 오캠에 확장 된 기능을 사용하려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여러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오캠을 사용하기 위한 용어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우선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AVI, MP4, MOV 같은 컨테이너 포맷을 말합니다.
위키피디아에 보면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컨테이너 포맷(container format) 또는 래퍼 포맷(wrapper format)이란 상이한 데이터 구성요소들과 메타데이터들이 컴퓨터 파일안에서 같이 있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 메타 파일 포맷입니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단순히 AVI, MP4, MOV, FLV 등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형식으로 저장할지에 대한 파일구조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컨테이너에 들어갈 데이터는 코덱과 관련이 있습니다.
코덱의 정의는 위키피디아에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BD%94%EB%8D%B1
코덱(영어: codec)은 어떠한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에 대해, 인코딩이나 디코딩, 혹은 둘 다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또,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인다. 전기 통신분야의 용어로는 디지털 회신, 곧 송수신 장치를 뜻하였으며, "부호기", "복호기"를 합쳐 불렀다. 1980년대 미국에서 개발, 사용된 것이 시초이다.
코덱에는 데이터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자료를 압축하거나 압축을 푸는 소프트웨어나, 소리, 동영상 등의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현재 오캠에서는 화면에 데이터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을 이용해 인코딩 된 동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데이터는 오캠에서 지정 된 컨테이너 포맷에 맞춰서 파일이 저장되게 됩니다.
코덱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XVID, MPEG-1, MPEG-2, MPEG-4, H264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VI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있을 때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AVI 포맷이 되며,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와 오디오는 AVI라는 정의 된 구조형식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이 때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H264가 될 수도 있고, MPEG-4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오디오에 경우에도 MP3가 될 수도 있고 PCM등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