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지원되는 비디오 코덱과 컨테이너 포맷은 무엇인..  

[FAQ]지원되는 비디오 코덱과 컨테이너 포맷은 무엇인가요?

지원되는 비디오 코덱과 컨테이너 포맷은 무엇인가요?

지원되는 코덱은 오캠 메인 윈도우 창에서 코덱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비디오 코덱은 MPEG-1, MPEG-2, MPEG-4, XVID, OpenDivx, 마이크로소프트 MPEG-4 파트2, 마이크로소프트 MPEG-4 파트3 입니다.

 

해당 코덱들은 모두 AVI라는 컨테이너 포맷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오캠 설치 시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MPEG-4 파트2 코덱을 사용해서 녹화가 진행되며, 해당 코덱을 사용할 경우 여타 다른 녹화 프로그램과 다르게 코덱 설치없이 거의 대부분에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가능합니다.

 

보통 동영상을 플레이 하려고 할 때 코덱을 설치해야 한다던지 그런 경우가 있는데 이 코덱에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대부분 지원됩니다.

 

즉, 윈도우를 처음 설치 후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았을 때 오캠으로 녹화 된 동영상 파일을 윈도우 미디어플레이어로 바로 재생이 가능하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추가로 코덱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MPEG-4, XVID, OpenDivx는 오캠 내부적으로 MPEG-4 코덱을 이용해서 모두 인코딩 되며, XVID와 OpenDivx에 한해서 fourCC만 변경됩니다.

 

 

추가로 지원되는 컨테이너 포맷을 설명하자면 우선 FLV가 있습니다.

 

FLV는 플래시 비디오에 약자이며 실시간 스트리밍을 지원하기 때문에 제로보드 게시판 같은 곳에 FLV 바로 첨부파일로 업로드해서 미리보기하면 웹상에서 영상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FLV 플레이어를 이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FLV는 현재 오캠에서 MPEG-4  코덱을 사용해서 인코딩됩니다.

 

 

애플에서 개발한 퀵타임 포맷인 MOV에 경우 퀵타임 플레이어 전용 포맷이며 코덱은 MPEG-4를 사용합니다.

 

 

추가로 MPEG-2  전송 스트림은 TS 확장자를 가지고, MPEG-PS 는 VOB 확장자를 가지는 컨테이너 포맷이며, 코덱은  MPEG-2를 사용합니다.

 

 

마지막으로 동영상 녹화 시 저장되는 오디오 코덱은 모두 MP3 포맷으로 저장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외장코덱을 지원하는데 따로 외장 코덱과 관련 된 게시물을 만들어서 설명하겠습니다.



추가로 알면 좋을 팁

[사용법]가변 프레임 레이트(VFR)와 고정 프레임 레이트(CFR)에 대한 FAQ

다음은 프레임 레이트 모드에 대한 FAQ를 간략하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Q. 가변 프레임 레이트란 정확히 무엇인가요?

A. 일정시간 녹화한 동영상 파일이 있을 때 매 초당 프레임의 개수가 모두 같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 이며, 매 초당 프레임 수가 하나라도 다르다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입니다.

예를 들어서, 5초간 화면을 녹화하고 초당 30프레임으로 정확하게 녹화되었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이며, 5초간 화면을 녹화했는데 중간에 3~4초 사이에 초당 프레임이 30프레임 아니라 25 프레임으로 녹화되었고 나머지는 초당 30이라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맨 마지막 프레임 수는 제외입니다. 4.5초간 녹화했고, 4초전까지 매 초마다 30프레임으로 정확하게 녹화되었지만 마지막 0.5초는 30프레임보다 같거나 작아도 상관없습니다.

 

Q. 오캠에서 60FPS로 게임을 녹화하고 가변 프레임 레이트 모드로 설정되어 있었고, 시스템 사양이 매우 좋아서 랙이 전혀 걸리지 않는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되나요?

A. 전혀 랙이 걸리지 않는다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가 아니라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가 됩니다. 초당 60개의 프레임을 모두 담는다면 고정 프레임 레이트이기 때문입니다.

 

Q. 오캠에서 60FPS로 게임을 5초간 녹화하고 초당 정확히 30프레임이 녹화되었다면 ( 전체 150 프레임 ) 가변 프레임 레이트인가요?

A. 이 경우 30FPS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 된 동영상 파일이 생성됩니다. 60FPS로 녹화해서 60FPS의 프레임이 나오지 않았다고 해서 가변 프레임 레이트가 되지 않습니다. 가변 프레임 레이트는 프레임 수가 가변이어야 합니다.

 

Q. 가변 프레임 레이트 모드로 녹화를 60FPS로 하고 게임도 60FPS로 화면이 출력되었는데 녹화 된 파일이 59.xx 라고 나오는 경우는 왜 그런건가요?

A. 60FPS로 게임 화면이 출력될 때 정확한 간격으로 60FPS로 화면상에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60FPS로 게임 화면이 출력 될 때 정확하게 1000ms/60=16.66666666666667ms 단위로 화면이 출력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이렇게 출력이 되지 않고 미세한 밀리세컨드 단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59.xxx로 녹화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오캠에 FPS 계산은 200밀리세컨드 단위로 FPS에 값을 계산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60FPS라고 오캠에서 출력이 되도 59.xxx로 나올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오캠의 설정을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합니다.

 

Q.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를 할 때 컴퓨터의 성능이 낮으면 가변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가 되나요?

A. 아니요.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됩니다. 다만, 컴퓨터의 성능이 낮기 때문에 예를 들면, 120FPS,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무리하게 녹화를 하는 경우 120FPS로 녹화 된 동영상 파일이 생성되지만 녹화 된 파일의 랙이 심하게 걸리거나 녹화 시 랙이 걸릴 수 있습니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