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팁]녹화, 녹음 또는 캡처 시 저장되는 파일 이름..  

[사용팁]녹화, 녹음 또는 캡처 시 저장되는 파일 이름 바꾸기

오캠 상단 메뉴의 도구 - 옵션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왼쪽에 저장탭을 클릭하면 저장할 파일이름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됩니다.

<Prefix>_<YYYY_MM_DD_HH_NN_SS_Z>

 

<> 괄호안에 들어가는 글자는 특수한 키워드가 들어가며 키워드를 통해서 머릿글자, 날짜, 일련번호, 프로그램이름, 사용자ID, 사용자 이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본 셋팅으로는 녹화를 시작 후 완료하면, 녹화_2015_05_07_14_22_41_791 형식으로 저장되는데 만약 앞에 붙는 녹화만 변경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바꾸면 됩니다.

 

테스트_<YYYY_MM_DD_HH_NN_SS_Z>

 

이렇게 하면 녹화를 완료하면 테스트_2015_05_07_14_22_41_791 형식으로 저장이 됩니다.

 

만약 테스트 뒤에 날짜가 아닌 일련번호를 붙이고 싶다면

테스트_<#> 로 하면 테스트_1... 테스트_2 ... 테스트_3...................... 테스트_10 형태로 저장됩니다.

 

<> 괄호안에 들어가는 특수 키워드에 대한 설명

 

현재 날짜가 

2015_05_07_14_22_41_791

형태라면,

 

<Y> = 15 ( 년도 두자릿수 )

<YY> = 15 ( 년도 두자릿수 )

<YYYY> = 2015 ( 년도 네자릿수 )

<M> = 5 ( 월 한자릿수 )

<MM> = 05 ( 월 두자릿수 )

<MMM> = 5 ( 한국 로케일에서 사용하지 않음 )

<MMMM> = 5월 ( 월인데 뒤에 시스템 로케일에 따라 언어에 맞춰서 붙임 )

<D> = 7 ( 일 한자릿수 )

<DD> = 07 ( 일 두자릿수 )

<DDD> = 목 ( 요일 )

<DDDD> = 목요일 ( 로케일에 따라 언어에 맞춰서 붙임 )

<DDDDD> = 2015-05-07 ( 날짜 )

<DDDDDD> = 2015년 5월 7일 목요일 ( 날짜 및 요일이며 로케일에 따라 언어에 맞춰서 붙임 )

<C> = 2015-05-07 오후 2:22:41 ( 날짜 및 시간 )

<H> = 14 ( 시 한자릿수 )

<HH> = 14 ( 시 두자릿수 )

<N = 22 ( 분 한자릿수 )

<NN> = 22 ( 분 두자릿수 )

<S> = 41 ( 초 한자릿수 ) 

<SS> = 41 ( 초 두자릿수 )

<Z> = 791 ( 밀리세컨드 )

<ZZZ> = 791 ( 밀리세컨드 )

<T> = 오후 2:22 ( 오전/오후 로케일이 따라서 이름이 다르며 뒤에 시간이 붙음 )

<TT> = 오후 2:22:41 ( 오전/오후 로케일이 따라서 이름이 다르며 뒤에 시간 및 초가 붙음 )

<AM/PM> = AM 또는 PM

<a/p> = a 또는 p

<ampm> = 오전 또는 오후

 

<Prefix> = 녹화를 하면 녹화, 캡처를 화면 캡처, 녹음을 하면 소리

<ProgramName> = 기본적인 녹화를 하면 oCam, 게임을 녹화하면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파일 이름

 

<UserID> = 윈도우 사용자ID

<DisplayUserName> = 윈도우 사용자 표시되는 이름

 

<#> = 일련번호 한자릿수

<##> = 일련번호 두자릿수

<###> = 일련번호 세자릿수



추가로 알면 좋을 팁

[FAQ]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이란 무엇인가요?

오캠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위 두 가지 용어에 대한 이해는 필요가 없지만 오캠에 확장 된 기능을 사용하려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여러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오캠을 사용하기 위한 용어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우선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AVI, MP4, MOV 같은 컨테이너 포맷을 말합니다.

위키피디아에 보면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B%94%94%EC%A7%80%ED%84%B8_%EC%BB%A8%ED%85%8C%EC%9D%B4%EB%84%88_%ED%8F%AC%EB%A7%B7

 

컨테이너 포맷(container format) 또는 래퍼 포맷(wrapper format)이란 상이한 데이터 구성요소들과 메타데이터들이 컴퓨터 파일안에서 같이 있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 메타 파일 포맷이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단순히 AVI, MP4, MOV, FLV 등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형식으로 저장할지에 대한 파일구조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컨테이너에 들어갈 데이터는 코덱과 관련이 있습니다.

 

코덱의 정의는 위키피디아에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BD%94%EB%8D%B1

 

코덱(영어: codec)은 어떠한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에 대해, 인코딩이나 디코딩, 혹은 둘 다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또,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인다. 전기 통신분야의 용어로는 디지털 회신, 곧 송수신 장치를 뜻하였으며, "부호기", "복호기"를 합쳐 불렀다. 1980년대 미국에서 개발, 사용된 것이 시초이다.[출처 필요]

코덱에는 데이터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자료를 압축하거나 압축을 푸는 소프트웨어나, 소리, 동영상 등의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현재 오캠에서는 화면에 데이터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을 이용해 인코딩 된 동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데이터는 오캠에서 지정 된 컨테이너 포맷에 맞춰서 파일이 저장되게 됩니다.

 

코덱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XVID, MPEG-1, MPEG-2, MPEG-4, H264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VI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있을 때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AVI 포맷이 되며,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와 오디오는 AVI라는 정의 된 구조형식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이 때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H264가 될 수도 있고, MPEG-4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오디오에 경우에도 MP3가 될 수도 있고 PCM등이 될 수 있습니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