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이란 무엇인가요?..  

[FAQ]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이란 무엇인가요?

오캠을 사용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위 두 가지 용어에 대한 이해는 필요가 없지만 오캠에 확장 된 기능을 사용하려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코덱과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여러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오캠을 사용하기 위한 용어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우선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AVI, MP4, MOV 같은 컨테이너 포맷을 말합니다.

위키피디아에 보면 좀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B%94%94%EC%A7%80%ED%84%B8_%EC%BB%A8%ED%85%8C%EC%9D%B4%EB%84%88_%ED%8F%AC%EB%A7%B7

 

컨테이너 포맷(container format) 또는 래퍼 포맷(wrapper format)이란 상이한 데이터 구성요소들과 메타데이터들이 컴퓨터 파일안에서 같이 있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는 메타 파일 포맷이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단순히 AVI, MP4, MOV, FLV 등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형식으로 저장할지에 대한 파일구조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컨테이너에 들어갈 데이터는 코덱과 관련이 있습니다.

 

코덱의 정의는 위키피디아에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C%BD%94%EB%8D%B1

 

코덱(영어: codec)은 어떠한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에 대해, 인코딩이나 디코딩, 혹은 둘 다를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또,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인다. 전기 통신분야의 용어로는 디지털 회신, 곧 송수신 장치를 뜻하였으며, "부호기", "복호기"를 합쳐 불렀다. 1980년대 미국에서 개발, 사용된 것이 시초이다.[출처 필요]

코덱에는 데이터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자료를 압축하거나 압축을 푸는 소프트웨어나, 소리, 동영상 등의 자료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 및 소프트웨어가 포함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현재 오캠에서는 화면에 데이터를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을 이용해 인코딩 된 동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 생성된 데이터는 오캠에서 지정 된 컨테이너 포맷에 맞춰서 파일이 저장되게 됩니다.

 

코덱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XVID, MPEG-1, MPEG-2, MPEG-4, H264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VI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있을 때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은 AVI 포맷이 되며,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와 오디오는 AVI라는 정의 된 구조형식으로 저장되게 됩니다.

 

이 때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H264가 될 수도 있고, MPEG-4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오디오에 경우에도 MP3가 될 수도 있고 PCM등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알면 좋을 팁

[사용팁]무손실로 녹화하기 - x264vfw 이용

* 시작하기에 앞서 x264 코덱을 설치해야 하며 다음 링크에서 방법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ohsoft/618 )

 

오캠의 코덱 메뉴를 클릭 후 외장 코덱 메뉴 아이템을 클릭합니다.

 

외장 코덱 사용하기에 체크를 하고, x264vfw 코덱을 선택한 후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x264vfw 기본 셋팅 설정을 기준으로 아래 그림에서 노란색 박스로 표시된 부분을 그림처럼 변경합니다.

 

 

 

 

 

변경 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Preset - Ultrafast ( 인코딩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설정하며 파일의 용량이 커질 수 있지만, 이 외에 옵션을 선택 시 랙이 많이 발생합니다. )

 

Profile - High 4:4:4 ( 기본 프로파일의 경우 화질이 손실 될 수 있으므로, 무손실 인코딩을 하기 위해서 High 444로 변경합니다. )

 

Keep input colorspace - 내부적으로 입력받는 버퍼의 색상 공간을 유지합니다.  ( 이 외에 다른 옵션을 사용하면 인코딩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 )

 

Rate control - Single pass - lossless - 무손실 인코딩을 위해서 변경합니다.

 

 

OK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적용됩니다.

 

64비트 게임녹화 시 64비트용 x264vfw64에 설정이 적용되기 때문에 시작 메뉴에서 x264vfw - Configure x264vfw64 를 실행하셔서 위에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위의 셋팅으로 녹화를 하게 되면 무손실로 녹화가 되며,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무손실로 된 영상을 무손실로 재생하려면 동영상 플레이어의 설정을 반드시 변경해야 합니다.

 

 

아래는 다음팟 플레이어 기준으로 무손실 영상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다음팟 플레이어를 실행 후에 환경 설정 ( F5 ) 를 클릭합니다.

 

 

환경 설정창에서

 

왼쪽에 영상 - 컬러스페이스/속성을 클릭 후에 오른쪽에 컬러스페이스 그룹박스안에 가능하면 직접 변환 - 기본 출력 컬러스페이스로 변경을 선택합니다. ( 이렇게 설정하지 않으면 녹화를 무손실로 해도 재생을 할 때 화면의 색상이 손실되어서 재생이 됩니다. )

 

 

 

 

확인을 누른 후 무손실로 녹화한 영상을 재생합니다.

 

이 때 다음팟 플레이어에서 Ctrl + F1을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반드시 비디오 코덱의 출력 형식이 RGB(32 Bits)로 출력되어야 합니다.

 

 

 

또한 재생 정보에 - 파일 정보 탭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아래의 속성이 같아야 합니다.

 

Format profile                 : High 4:4:4 Predictive@L3

Color space                    : RGB

Color range                    : Full

Matrix coefficients            : RGB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재생이 되지 않고, 윈도우 탐색기에서 미리보기 섬네일이 표시되지 않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