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이메일을 반드시 정확히 설정하세요.
비밀번호 분실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문제입니다. 이를 위해 저희는 암호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구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사용자가 입력한 복구 이메일 주소입니다. 간혹, 사용자분들께서 계정 설정 시 복구 이메일 주소를 대충 입력하거나 잘못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안타깝게도 비밀번호 복구를 위한 메일이 올바른 주소로 전송되지 않아 복구가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저희 프로그램의 보안 특성상 비밀번호를 모를 경우, 단순히 복구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자체를 삭제하거나 관련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도 불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데이터의 보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조치로, 무단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따라서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기 전에, 가능한 한 빠르게 복구 이메일 주소가 정확한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다음 단계를 통해 설정을 점검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설정에 들어가셔서 암호변경 버튼을 눌러 복구 이메일 주소가 정확히 되어있는지 확인하세요.
등록된 복구 이메일 주소가 본인이 실제로 사용 중인 정확한 이메일 주소인지 확인하세요.
오타가 있거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메일 주소가 등록되어 있다면 즉시 수정해 주세요.
복구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여 복구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타가 있거나 존재하지 않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 경우, 복구 메일을 보낼 수 없어 저희도 도움을 드릴 방법이 없게 됩니다.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계정 설정 시 복구 이메일 주소를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이미 복구 이메일 주소를 잘못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복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복구가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앞으로는 계정 설정 시 복구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의 뉴스/팁
오캠으로 마인크래프트 녹화를 시작하자마자 게임이 튕기는 경우(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오캠(oCam)을 포함한 CUDA를 사용하는 Java 기반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엔비디아 드라이버 설치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 드라이버 버전 378.49(또는 일부 다른 버전)를 설치한 경우, CUDA 초기화 함수인 `cuInit`를 호출할 때 "Stack cookie instrumentation code detected a stack-based buffer overrun" 오류와 함께 앱이 크래시되는 버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오캠 자체의 버그가 아니라, CUDA를 사용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엔비디아 드라이버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오캠뿐만 아니라 다른 CUDA 기반 Java 앱에서도 동일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엔비디아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인 378.66 이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세요:
1. 엔비디아 공식 웹사이트(geforce.com/drivers)로 이동합니다.
2. 사용 중인 그래픽 카드 모델과 운영체제를 선택한 뒤, 최신 드라이버(버전 378.66 이상)를 검색합니다.
3. 다운로드한 드라이버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4. 설치 완료 후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오캠 또는 다른 CUDA 기반 앱을 실행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드라이버를 378.66 이상으로 업데이트하면 CUDA 초기화 관련 크래시 문제가 해결되며, 오캠을 포함한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최신 드라이버 설치 후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엔비디아 지원팀에 문의하거나 오캠의 최신 버전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