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 (31)
사용팁 (25)
FAQ (36)

오캠을 다른 경로에 설치하기

오캠(oCam)의 설치 파일을 명령줄에서 실행할 때 특정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설치 경로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기본 설치 경로 대신 원하는 폴더에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어 유연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설치 경로를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dir=설치경로"`


이 파라미터는 설치 파일 실행 시 원하는 설치 경로를 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오캠을 특정 폴더에 설치하고 싶을 때 이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됩니다.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작 메뉴를 열고 ‘실행’을 선택합니다. 또는 Windows 키 + R 단축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2. 실행 창의 입력창에 다음 형식으로 명령을 입력합니다:  

`"설치파일경로" "/dir=설치경로"`


예를 들어, 오캠 설치 파일이 `C:\Downloads\oCam_Setup.exe`에 있고, 설치 경로를 `D:\Program Files\oCam`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C:\Downloads\oCam_Setup.exe" "/dir=D:\Program Files\oCam"`


위 명령을 실행하면 오캠이 지정한 경로인 `D:\Program Files\oCam`에 설치됩니다. 이 방법은 설치 과정을 커스터마이징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하며, 특히 특정 디렉토리에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싶은 경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명령줄에서 파라미터를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설치 파일 경로와 설치 경로를 따옴표로 묶어 띄어쓰기나 특수 문자가 포함된 경우에도 오류 없이 실행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 간단한 방법을 통해 오캠의 설치 경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팁

프레임 레이트 모드 설정하기 - VFR(가변 프레임 레이트) 또는 CFR(고정 프레임 레이트)

오캠(oCam)은 사용자 친화적인 화면 녹화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특히 게임 플레이, 강의 제작, 튜토리얼 영상 제작 등 화면 녹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오캠의 기본 설정은 가변 프레임 레이트(Variable Frame Rate, VFR)로 되어 있어, 시스템 성능과 녹화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가변 프레임 레이트 모드는 오캠의 기본 설정으로, 사용자가 녹화 설정에서 프레임 레이트를 60FPS로 설정하더라도 실제 녹화 결과는 시스템 성능이나 녹화 대상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녹화할 때 게임 자체의 프레임 레이트가 60FPS를 유지하지 못하고 평균 30FPS로 동작한다면, 오캠은 이를 반영하여 30FPS로 녹화합니다. 이는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녹화 과정에서 끊김 없이 안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한 설계입니다.

또한, 가변 프레임 레이트는 시스템 사양이 녹화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작동합니다. 만약 게임 플레이 중 랙이 발생하거나, 고사양의 화면 녹화를 시도할 때 시스템이 60FPS를 유지하지 못한다면, 오캠은 자동으로 시스템 성능에 맞춰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하여 녹화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스템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가능한 한 최적의 품질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변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된 영상은 특정 상황에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Adobe Premiere Pro)와 같은 전문적인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변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된 영상은 프레임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편집 과정에서 음성과 영상의 싱크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오캠에서 고정 프레임 레이트(Constant Frame Rate, CFR)로 설정을 변경하여 녹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설정하면 오캠은 사용자가 지정한 프레임 레이트(예: 60FPS)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며, 시스템 성능에 상관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프레임을 기록합니다. 이는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에서 더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특히 음성과 영상의 싱크를 정확히 맞추는 데 유리합니다. 따라서 동영상 편집을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고정 프레임 레이트로 녹화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오캠에서 프레임 레이트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오캠 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하고, ‘녹화’ 탭으로 이동합니다. 이어서 ‘일반’ 탭을 클릭하면 프레임 레이트 모드를 가변 프레임 레이트(VFR) 또는 고정 프레임 레이트(CFR)로 변경할 수 있는 설정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 환경과 목적에 맞게 녹화 방식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오캠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간단한 조작법으로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가변 프레임 레이트와 고정 프레임 레이트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면, 게임 녹화부터 영상 편집까지 다양한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오캠관련 - howto 오캠 세부설정하기 - 저장
오캠관련 - howto 오캠 세부설정하기 - 캡처
오캠관련 - howto 오캠 세부설정하기 - 소리
오소프트툴즈 - secretfolder 파일이 암호화 된 것 같아요. 라는 질문
오캠관련 - howto 오캠으로 화면녹화 하기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전체 기능별 스크린샷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부가기능 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환경설정 상세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이미지효과 관련 기능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이미지편집 관련 기능소개
오소프트툴즈 - captureplus 캡처플러스 화면 캡처 관련 기능소개
오소프트툴즈 - virtualdvd VirtualDVD 기능 간단히 살펴보기
오소프트툴즈 - secretfolder 비밀폴더 암호 변경하기
오소프트툴즈 - secretfolder 비밀폴더(SecretFolder) 주요 기능 살펴보기
오캠관련 - howto 게임녹화 하는 방법